Tea sipping worker
반응형

mckinsey면접 5

[MBB/전략컨설팅] 3사 프로세스 필기 차이/형식 공통점

애초에 여러 회사를 준비하는 사람들이 많다보니 헷갈릴 수 있는 정보라 생각해서 이 글을 작성해본다. 저번에도 비슷한 글 작성하긴 했는데 그냥 더 하고 싶은 말이 있어서 씀 3사 필기시험 베인 (Bain & Company) 최근 들어서 필기 시험을 보지 않는다. 원래는 맥 구 PST나 BCG Potential test랑 비슷한걸 봤다고 들었고, 중간에 한번 ACI가 생기면서 인성검사? 같은걸 봤다 들었는데, 최근 들어서는 필기를 봤다는 사람을 보지 못했다. 나 역시 필기시험을 치지 않았다. 비씨지 (Boston Consulting Group, BCG) 반면 비씨지와 맥킨지는 2019~2020년에 들어가면서부터 필기 시험 형식이 다소 바뀌었다. 비씨지는 인공지능 챗봇과 interact하며 비즈니스 케이스 하..

[MBB/전략컨설팅] 준비방법 - 3 (Case편 02: 케이스 스터디)

※ Public한 정보 외의 조언들은 대부분 저의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의견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Case는 보통 혼자 공부 + 다른 사람들과 함께하는 케이스 스터디 이렇게 두가지를 병행하여 준비하는 편인 것 같다. 물론 케이스스터디 없이도 충분히 붙는 사람도 많다. 이번에 학회 오빠가 2주 준비하고 챡 붙었다길래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했었다. 그런데 어쨌든 나는 그냥 보통의 방법을 기록하고자 하는거니까 케이스 스터디에 대해서 짧게 써 보겠다. [Case study는 왜 하는가] 1. 사고가 좁아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2. 상호작용 경험을 쌓기 위해 3. 그냥 동지가 있으면 기분이 좋음... (나는 그랬음) 일단 여러번 반복해 말했듯이, 케이스의 풀이라는게 답이 정해져 있지 않고, pov마다 다채로운 ..

[MBB/전략컨설팅] 준비방법 - 2 (Case편 01: Framework)

※ Public한 정보 외의 조언들은 대부분 저의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의견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내 경험을 기반으로, 나라면 case를 처음 준비하는 입장에서 이렇게 하면 좋지 않을까... 하고 정리해보려 한다. 이미 공부 많이 한 사람은 안 읽어도 됩니다... 오히려 더 헷갈리실듯 일단은 Case를 준비함에 있어서 기본적인 프레임을 어떻게 공부하면 좋을 것 같은지 고민해봤다. 1. 기본적인 Framework 공부 사실 Framework를 달달 외워서 기계적으로 적용하는게 Case interview는 전혀 아니다. 다만 비경영이라 경영대생들은 전략경영 수업 같은거에서 배워서 안다는 기초적인 것들을 배우고 점검하고 싶어서 Frame 공부를 했다. 또 기초적인 Frame을 알아야 그보다 one step..

[전략컨설팅, MBB 합격하기 2021 ver] 준비방법 - 1

※ Public한 정보 외의 조언들은 대부분 저의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의견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그냥 개인 기록용으로 시작한 블로근데 생각보다 쪽지를 너무 많이 받아서... 예전에는 컨설팅이 정말 정보 불균형이 심했다고 선배님들에게 들었는데, 요즘은 정보 불균형보단 오히려 옵션이 다양화되면서 뭘 어떻게 해야하는지, 그 정보를 정제를 잘 못하는 사람이 많이 늘어난거 같다. 그래서 그냥 간단히 컨설팅을 내가 어떻게 준비했는지 정리해보고자 한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대부분 아는 내용일 확률이 높다. 1. 컨설팅 지원 Process는 어떻게 이뤄지는가? - 서류/Essay 접수 - 필기 or Game 시험 (Online) - 3-6회차의 Case + Fit Interview 보통 이렇게 크게 세 단계로 진..

[인턴 04] 사모펀드 인턴 (Private Equity) + 면접 준비 + breaking into wallstreet

2020년 2학기에는 오롯이 인턴만 하면서 내 성장에 집중을 하고 싶었는데, 연초부터 계속되는 학회 세션 담당 역할의 압박에 인턴을 포기할 뻔했었다. 그런데 다행히 여건도 따라주고, 국내 유명 사모펀드에서 인턴으로 일 할 기회도 생겨서 그냥 잠을 줄이면 줄였지, 경험을 포기하지는 말자는 생각으로 지원하여 8월부터 약 5개월 간 인턴십을 하게 되었다. 내 첫 금융 인턴이자 마지막 인턴십이었다. 개인적으로 가장 성취감을 느꼈던 인턴이 BCG RA였다면, 사모펀드 인턴은 가장 많이 성장할 수 있었던 인턴이다. 이전에는 학회에서 프로젝트를 할 때도 재무제표들을 표면적으로 읽고, 사업보고서도 ctrl f로 원하는 숫자를 찾고 나면 꺼버렸던 반면, 사모펀드 인턴은 어떤 산업은 어떤 숫자를 주로 보이는지, 이런 숫자..

1
728x90
반응형